300x250 불투명도2 별을 흑체로 가정하는 이유 흑체복사에 대한 글을 쓰다보니, 갑자기 별을 흑체로 보는 이유에 대한 글이 쓰고 싶어졌다. 오히려 이전 포스팅보다 더 호기심을 자극하고 유용할지도 모르겠다. 1. SOHO LASCO C3 실시간 태양 영상 위의 사진은 NASA의 태양 관측용 위성인 SOHO에서 촬영한 영상이다. 왼쪽부터 파장 171nm, 195nm, 가시광선 전범위에서 촬영된 것이다. 이렇게 모든 범위의 전자기파에서 태양을 관측하여도 태양의 내부를 볼 수 없는 것은, 태양의 광구가 모든 파장의 복사에 대해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2. 광구는 불투명하다. 태양의 표면이 5,800K나 되는 높은 온도를 가지고 있는 것은 핵에서 에너지를 생산하기 때문이다. 태양의 핵에서 생성된 에너지는 복사, 대류, 전도를 통해 표면으로 전달되어 나온다. 만일.. 2022. 4. 10. 광학적 깊이 : 광학적 깊이를 쉽게 이해하기 대학교 3학년 때, 처음으로 배운 전달 방정식과 광학적 깊이라는 개념이 이해가 잘 되지 않아 오랫동안 내용을 곱씹었던 기억이 난다. 광학적 깊이에 대한 개인적인 고찰들과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서론, 대학교 때의 천문학 노트 내용을 바탕으로 이 글을 써 본다. 이번 글은 광학적 깊이에 대해 다룰 것이다. 광학적 깊이를 이해할 수 있다면 전달 방정식도 어느정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1. 항성의 대기와 광학적 깊이 태양을 보면 가시광선으로 관찰하면 볼 수 있는 태양의 표면이 있는데 이것을 광구라고 부른다. 조금 더 깊이 생각해보면 태양이 주변부와 이렇게 명확한 경계가 있는 것 처럼 보이는 것은 무척 신기한 일이다. 태양은 대부분이 수소, 헬륨인 기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명확한 경계가 없다. 우리.. 2021. 8. 31.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