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0x250

흑체복사3

카테고리이미지 별을 흑체로 가정하는 이유 흑체복사에 대한 글을 쓰다보니, 갑자기 별을 흑체로 보는 이유에 대한 글이 쓰고 싶어졌다. 오히려 이전 포스팅보다 더 호기심을 자극하고 유용할지도 모르겠다. 1. SOHO LASCO C3 실시간 태양 영상 위의 사진은 NASA의 태양 관측용 위성인 SOHO에서 촬영한 영상이다. 왼쪽부터 파장 171nm, 195nm, 가시광선 전범위에서 촬영된 것이다. 이렇게 모든 범위의 전자기파에서 태양을 관측하여도 태양의 내부를 볼 수 없는 것은, 태양의 광구가 모든 파장의 복사에 대해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2. 광구는 불투명하다. 태양의 표면이 5,800K나 되는 높은 온도를 가지고 있는 것은 핵에서 에너지를 생산하기 때문이다. 태양의 핵에서 생성된 에너지는 복사, 대류, 전도를 통해 표면으로 전달되어 나온다. 만일.. 2022. 4. 10.
카테고리이미지 지구과학1 별의 물리량 : 흑체복사 이번 글은 지구과학1의 내용 중 흑체복사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 보려고 한다. 별의 분광형, 광도계급, 혹은 흑체복사 이론의 역사가 궁금한 사람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기 바란다. 먼저 흑체복사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전에, 에너지 전달방식 3가지를 알고 이 글을 읽자. 이것을 모른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 바란다. 열평형과 에너지 전달 방식 : 중학교 과학 중학생들에게 지구의 복사평형을 가르치다가 이 개념이 상당히 이해하기 까다롭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인터넷에서 글을 찾아보아도 중학생들을 위한 글이 없기에 한번 써본다. 이번 편은 열평 fecu.tistory.com 1. 물체의 온도와 복사의 관계 위의 사진은 뜨겁게 달군 금속을 찍은 것이다. 사진을 보면 한눈으로 보기에도 어떤 부분이 가장 뜨거운지 알 수 .. 2022. 4. 9.
카테고리이미지 플랑크 곡선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 흑체복사 이론의 역사 처음에 흑체 복사에 대해 배우고 플랑크 곡선의 공식을 보았을 때 '왜 이렇게 공식이 어렵지?'라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흑체 복사에 대한 내용을 총 3개의 게시물로 쪼개보았다. 1부는 이론의 역사, 2부는 고등학교 물리에서의 흑체복사, 3부는 임용고시에서 다루는 흑체복사에 대해 다루어 보려고 한다. 플랑크 곡선, 빈의 변위법칙과 같은 흑체복사와 관련된 식들이 복잡한 이유는 모두 경험식이기 때문이다. 현상이 먼저 발견되고 이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가 만들어진 것이다. 따라서 수식을 외우려고 할 필요는 없고 이해하면 된다. 아래는 위키백과에 있는 흑체 복사와 관련된 이론들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연도에 따라 간략하게 정리해본 것이다. 아래 내용을 읽으며 어떠한 과정을 통해 플랑크 곡선의 공식이 만.. 2022. 2. 1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