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0x250

지구과학47

카테고리이미지 별의 광도 계급 : 별을 분류하는 또 다른 기준 이 글은 이전 [별의 광도 계급 : 흡수선의 선폭이란 무엇인가?]에서 이어지는 글이다. 별의 광도 계급을 깊게 이해하고 싶다면 아래 글을 한번 읽고 아래 글을 읽어보자. 별의 광도 계급 : 흡수선의 선폭에 대하여 오랜만에 9월 모의고사를 풀다가 광도 계급에 대한 문제가 나온 것을 보았다. 그래서 광도 계급에 대한 글을 써야겠다고 생각하다가, 고등학교 교육 과정에서 한발 더 나아가 광도 계급이 다르 fecu.tistory.com 1. 여커스 분류법(M-K 분류법) 여커스 천문대의 모건(William W. Morgan)과 키넌(Philip C. Keenan)은 별의 온도와 광도 효과를 이용하여 별의 종류를 H-R도 상에서 2차원적으로 분류하였다. 표면중력에 영향을 받는 흡수선의 선폭을 이용하여 광도계급을 결.. 2021. 10. 8.
카테고리이미지 2016년 지구과학1 문제 모음(대기와 해양의 변화) 2016년 지구과학1, 지구과학2 문제 중 대기와 해양의 변화 단원과 관련된 문제제들을 분류해보았다. 아마 EBS나 참고서에서 본 문제들도 있겠지만, 접해보지 못한 문제들도 많을 것이라 생각한다. 문제를 풀어보며 자신이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 체크해보길 바란다. 혹여나 이해가 잘 되지 않거나 설명이 필요한 문제가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면 게시물로 작성 해볼 예정이다. 모든 문제의 저작권은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에 있으며, 자료는 누구나 자유롭게 다운받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SEA-PLM 화상회의 2021년 9월 24일(목), SEAMEO(동남아시아 교육각료기구)가 개최하는 SEA-PLM(동남아 기초학습평가) 2019정책 웨비나에 참여하여 남여 학생 학습 격차에 대한 심층 분석 및 정책.. 2021. 10. 7.
카테고리이미지 2016년 지구과학1 문제 모음(지구의 역사) 2016년 지구과학1, 지구과학2 문제 중 지구의 역사 단원과 관련된 문제들을 분류해보았다. 아마 EBS나 참고서에서 본 문제들도 있겠지만, 접해보지 못한 문제들도 많을 것이라 생각한다. 문제를 풀어보며 자신이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 체크해보길 바란다. 혹여나 이해가 잘 되지 않거나 설명이 필요한 문제가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면 게시물로 작성 해볼 예정이다. 모든 문제의 저작권은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에 있으며, 자료는 누구나 자유롭게 다운받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SEA-PLM 화상회의 2021년 9월 24일(목), SEAMEO(동남아시아 교육각료기구)가 개최하는 SEA-PLM(동남아 기초학습평가) 2019정책 웨비나에 참여하여 남여 학생 학습 격차에 대한 심층 분석 및 정책 제언을 .. 2021. 10. 7.
카테고리이미지 2016년 지구과학1 문제 모음(지권의 변동) 2016년 지구과학1, 지구과학2 문제 중 지권의 변동 단원과 관련된 문제제들을 분류해보았다. 아마 EBS나 참고서에서 본 문제들도 있겠지만, 접해보지 못한 문제들도 많을 것이라 생각한다. 문제를 풀어보며 자신이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 체크해보길 바란다. 혹여나 이해가 잘 되지 않거나 설명이 필요한 문제가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면 게시물로 작성 해볼 예정이다. 모든 문제의 저작권은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에 있으며, 자료는 누구나 자유롭게 다운받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SEA-PLM 화상회의 2021년 9월 24일(목), SEAMEO(동남아시아 교육각료기구)가 개최하는 SEA-PLM(동남아 기초학습평가) 2019정책 웨비나에 참여하여 남여 학생 학습 격차에 대한 심층 분석 및 정책 제언을.. 2021. 10. 7.
카테고리이미지 소용돌이도(와도) : 쉽게 이해하는 유체역학 지구과학에서 편서풍 파동, 서안 강화현상을 배우면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와도(소용돌이도, vorticity)이다. 처음 와도에 대해 배울 때는 와도가 무엇인지 감조차 잡을 수 없었다. 기상학, 해양학을 시작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와도에 대해 조금 더 쉽게 이해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 글을 쓴다. 1. 와도(소용돌이도)의 정의 소용돌이도 또는 와도(vorticity)는 특정 지점에 위치하여 흐름을 따라 움직이는 관찰자에게 보이는 그 지점에서 연속체의 국지적 회전운동(무언가가 회전하고자 하는 경향의 척도)을 기술하는 유사벡터 장의 하나다. - 출처 : 위키백과- 와도에 대해 위키 백과에는 위와 같이 적혀있다. 이 말만 보아서는 당최 무슨말인지 알기 어렵다. 조금 더 쉽게 이야기 하자면 물체를 회전시키려.. 2021. 10. 4.
카테고리이미지 흡수선의 선폭이란 무엇인가? : 별의 광도 계급 오랜만에 9월 모의고사를 풀다가 별의 광도 계급에 대한 문제가 나온 것을 보았다. 그래서 광도 계급에 대한 글을 써야겠다고 생각하다가, 고등학교 교육 과정에서 한발 더 나아가 광도 계급이 다르면 선폭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글을 쓰기로 했다. EBS 참고서에 보면 아래와 내용이 나온다. 오늘 쓰는 글은 아래 내용을 깊이 파보는 것이다. 글이 길기 때문에 2개의 주제로 쪼개어 봤다. 첫번째는 흡수선의 선폭을 결정하는 방법, 두번째는 광도 계급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광도 계급이 무엇인지 만을 알고 싶은 사람은 바로 결론의 링크로 가자. 같은 분광형을 가지는 별들의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흡수선의 선폭을 비교하여 별의 크기를 알 수 있고, 이를 비교하여 광도를 결정할 수 있다. - EBS 수능특강 지구과.. 2021. 9. 30.
카테고리이미지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지구과학1 짜집기 문제(2015년) 아래의 모의고사는 2015년 3월 ~ 11월(수능) 모의고사를 분석하여 2015개정 교육과정에 맞춰 단원별로 짜집기를 통해 만든 것입니다. 2015년 문제를 모두 풀어보셨다면, 아래 문제를 풀어보면서 자신이 모르는 것은 없는지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문제의 다운과 활용은 무료입니다. 아래 이미지를 확인해 보시고, 필요하시다면 파일을 다운하여 활용하세요. 모든 문제의 저작권은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에 있으며, 자료는 누구나 자유롭게 다운받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SEA-PLM 화상회의 2021년 9월 24일(목), SEAMEO(동남아시아 교육각료기구)가 개최하는 SEA-PLM(동남아 기초학습평가) 2019정책 웨비나에 참여하여 남여 학생 학습 격차에 대한 심층 분석 및 정책 제.. 2021. 9. 29.
카테고리이미지 2015년 모의고사 월별 정답 모음 모의고사 정답만 모아서 올려둡니다. 링크를 ctrl + 마우스 오른쪽 클릭 으로 하셔서 원하는 문제의 정답을 찾아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모의고사와 관련된 모든 저작권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누구나 자유롭게 다운 가능한 자료임을 알려드립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SEA-PLM 화상회의 2021년 9월 24일(목), SEAMEO(동남아시아 교육각료기구)가 개최하는 SEA-PLM(동남아 기초학습평가) 2019정책 웨비나에 참여하여 남여 학생 학습 격차에 대한 심층 분석 및 정책 제언을 논 www.kice.re.kr 2021. 9. 29.
카테고리이미지 태양의 수명과 별의 수명 : 별의 수명을 결정하는 방법 고등학교에서 H-R도와 별의 진화 과정을 배울 때 태양의 수명이 대략적으로 100억년이라는 것을 배웠을 것이다. 주계열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별의 생애 중 대부분의 시간이므로, 주계열에서 머무는 시간 ≈ 별의 수명 이라고 할 수 있다. 아직까지 인류는 태양과 같은 별이 태어나고, 죽는 순간을 관측한 적은 한번도 없다. 하지만 어떻게 태양의 수명이 대략적으로 100억년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일까? 1. 모든 별의 표준이 되는 별, 태양의 수명과 별의 수명 우주 상에서 가장 많은 관측 기록을 가진 별은 태양이다. 그래서 금속원소 함량, 별의 광도, 수명 같은 별의 몇몇 값들을 태양을 기준으로 나타내곤 한다. 일반적으로 태양의 수명은 100억년이라고 들었을 것이다. 이러한 값은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산출.. 2021. 9. 1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