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0x250

지구과학47

카테고리이미지 천문학자를 꿈꾸는 학생을 위한 영어공부 고등학교 때 내 꿈은 천문학자였다. 고3때 할머니가 돌아가시는 것을 본 뒤에 내 삶에 대해 처음으로 진지하게 고민해 보게 되었고, 그 당시 내가 그나마 잘 한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공부였다. 그 중에서도 지구과학을 제일 잘했고 재미도 있었다. 그래서 천문학자가 되어 우주의 어떤 비밀을 풀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때부터 공부를 정말 열심히 하게 되었는데 영어 성적을 올리는 것이 무척 어려웠다. 그래서 고민하다가 찾게 된 것이.... 영어로 된 영어 기사를 읽고 번역하는 것이었다. 처음에는 단어들이 눈에 잘 들어오지 않아는데 기사를 5개, 6개쯤 번역할 때 부터는 천문학 용어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내가 좋아하는 분야를 보면서 영어공부도 할 수 있으니 나름 재미있었다. 그래서 천문학자를 꿈꾸.. 2021. 9. 1.
카테고리이미지 2018학년도 수능 지구과학1 20번 문제 풀이 오늘은 내가 기억하는 천구 관련 레전드 문제 2018학년도 수능 지구과학1 20번 문제 풀이를 한번 해보려고 한다. 현재 지구과학에서 천구와 관련된 문제들은 지구과학2로 넘어갔다. 수능으로 지구과학2를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한번 풀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물론 서울대를 준비하는 것이 아니면 과학2 과목을 건드릴 사람은 없겠지만.... 먼저 문제를 눈으로 한번 확인해보자. 1. 2018학년도 수능 지구과학1 20번 문제 2. 보기 ㄱ, ㄴ 풀이 관측 지역 : N 36.5도 별 A, B의 관측시간 : 0시(자정) 1) 먼저 관측 지역이 북위 36.5º 지역이므로 지평선과 천구 북극이 이루는 각도는 36.5도가 된다. 2) 관측 날짜는 동지이므로 태양의 적경은 18시, 적위는 -23.5º일 것이다. 3) 별.. 2021. 9. 1.
카테고리이미지 지구에서 온 메세지(A Message from Earth) 지구인들이 이야기 하려고 하는 것은 무엇일까? 이 커다란 메세지는 1974년에 지구에서 구상성단 M13 방향으로 발송됬다. 메세지는 세상에서 가장 큰 전파 망원경 Arecibo Observatory 에서 0과 1의 도표로 묘사해 발송되었다. 이런 시도는 외계인과 소통하기 위한 의식행위였다.(인류는 정기적으로 라디오와 TV신호를 우주에 우연히 전송했었다.) 이 메세지를 M13에서 받더라도, M13이 너무 멀기 때문에 대답을 듣기 위해서는 대략 5만년을 기다려야 한다. 위의 메세지는 인류와 인류의 지식에 대해 작고 간단한 사실을 담고있다. 왼쪽에서 오른쪽까지의 숫자는 1~10이며, 수소와 탄소를 포함한 원소, 몇몇의 흥미로운 분자, DNA, 사람의 형태, 태양계의 정보, 보내는 망원경의 정보에 대한 것이다... 2021. 9. 1.
카테고리이미지 분해능이 중요한 이유 : 빛의 회절과 분해능의 관계 고등학교 때 지구과학을 배우면 망원경의 모든 성능이 구경과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배율은 접안 렌즈만 바꾸면 얼마든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그리 중요한 요소는 아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집광력과 분해능이다. 집광력은 망원경이 빛을 받는 면적이 넓으면 넓을수록 빛을 많이 받으니 구경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사실은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왜 분해능은 구경이 크면 클수록 좋은 것일까? 1. 빛의 회절 회절이란, 파동이 장애물을 만났을 때 장애물 뒤까지 전파되는 현상이다. 회절로 인해 장애물 근처에 있는 빛의 경로가 변경된다. 빛도 파동이기 때문에 이러한 회절 현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빛이 좁은 공간을 지나게 되면 빛이 지나가는 경로 차이에 의한 독특한 무늬를 보여주게 된다. 이때 회절로 발생하는 무.. 2021. 8. 31.
카테고리이미지 광학적 깊이 : 광학적 깊이를 쉽게 이해하기 대학교 3학년 때, 처음으로 배운 전달 방정식과 광학적 깊이라는 개념이 이해가 잘 되지 않아 오랫동안 내용을 곱씹었던 기억이 난다. 광학적 깊이에 대한 개인적인 고찰들과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서론, 대학교 때의 천문학 노트 내용을 바탕으로 이 글을 써 본다. 이번 글은 광학적 깊이에 대해 다룰 것이다. 광학적 깊이를 이해할 수 있다면 전달 방정식도 어느정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1. 항성의 대기와 광학적 깊이 태양을 보면 가시광선으로 관찰하면 볼 수 있는 태양의 표면이 있는데 이것을 광구라고 부른다. 조금 더 깊이 생각해보면 태양이 주변부와 이렇게 명확한 경계가 있는 것 처럼 보이는 것은 무척 신기한 일이다. 태양은 대부분이 수소, 헬륨인 기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명확한 경계가 없다. 우리.. 2021. 8. 31.
카테고리이미지 별의 분광형과 볼츠만-사하 방정식 별의 분광형에 대해 학습할 때 아래와 같은 말을 한번쯤은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Oh Be A Fine Girl Kiss Me 고전적인 별의 분광형 암기법 이는 별의 분광형을 온도에 따라서 분류한 것이다. 별의 스펙트럼을 관찰하고 최초로 수소 발머 흡수선에 세기에 따라 A, B, C 등의 순서로 나눈 사람은 하버드 천문대의 Aunie Jump Cannon이라는 여성 천문학자이다. 그런데 어째서 온도에 따른 발머선의 세기가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위의 순서로 꼬이게 된 것일까? 이 글은 단순하게 '별의 분광형을 온도에 따라서 분류한 것이다'라는 말을 납득하지 못하는 골수파 이과생이나 임용 고시생을 위한 글이다. 오늘은 볼츠만 방정식, 사하 방정식을 통해 어째서 별의 분광형이 저렇게 결정될 수 밖에 없었는.. 2021. 8. 31.
카테고리이미지 국부 정지 좌표계(LSR)의 이해 천문학에서 은하의 회전과 항성 운동을 배우다 보면 국부 정지 좌표계라는 것이 나온다. 은하 회전, 그리고 항성 운동은 어차피 물리학에서 모두 나오는 중력과 도플러 효과로 풀어나가기 때문에 그리 어렵지 않으나, 국부 정지 좌표계라는 개념은 천구를 처음 배울 때 만큼이나 생소하기 때문에 이해하기가 조금 까다롭다. 그래서 이 개념을 어떻게 이해해 나가야 하는지 비유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 글을 보기 전에 항성의 공간운동, 은하 회전에 대한 내용을 학습하고 오기 바란다. 1. 국부 정지 좌표계(LSR)란? 국부 정지 좌표계는 순간적으로 태양의 위치를 중심에 두고 은하 중심에 대하여 원운동을 하는 좌표계를 뜻한다. 이 말을 찬찬히 살펴보자. 국부 정지 좌표계(Local Standard of Rest) 1) .. 2021. 8. 31.
카테고리이미지 오늘 하늘이 유난히 멋있는 이유 : 틴들현상 동호회 카톡방에 하늘이 멋있다면서 사진이 하나 올라왔다. 이런 하늘을 누구나 본 적 있을 것이다. 예전에 내가 대학교 1학년일 때도 한 선배가 노을이 질 때 하늘의 구름이 가려지는 것을 보며 '틴들현상'이라고 가르쳐 준 적이 있다. 그렇다면 틴들현상은 무엇이고, 왜 이렇게 빛이 지나가는 경로가 보이는 것일까? 1. 틴들 현상 틴들 현상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빛의 파장과 같은 정도 또는 그것보다 더 큰 미립자가 분산되어 있을 때 빛을 조사하면 광선이 통로에 떠 있는 미립자에 의해 산란되기 때문에 옆 방향에서 보면 광선의 통로가 밝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이 현상을 이용하여 보통의 현미경으로는 볼 수 없는 미립자의 위치나 크기를 알 수 있다 . [네이버 지식백과] 틴들현상 [Tyndall phen.. 2021. 8. 31.
카테고리이미지 비리얼 정리 : 고등학교 물리로 쉽게 이해하기 비리얼 정리에 대해 찾아보니 정확하게 나와 있지 않은 것 같아서 쓰는 글이다. 아마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사람들이나 과학고 학생들이 보게될 것 같다. 이 글을 알기 전에 역학적 에너지와 포텐셜 에너지, 그리고 원운동을 물리적으로 어떻게 서술하는지를 알고 읽도록 하자. 이번 글에서는 비리얼 정리에 대해 알아보고, 다음 글에서는 비리얼 정리를 통한 은하의 질량 추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비리얼 정리 비리얼 정리는 무질서하게 움직이는 여러 입자들 사이의 힘에 대하여 서술하는 정리이다. 천문학에서 비리얼 정리를 이용하는 것은 항성의 형성, 은하의 형성이 하나의 질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여러 질점의 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천문학에서 비리얼 정리는 입자들의 운동량과 방향을 모.. 2021. 8. 3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