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0x250

지구과학임용4

카테고리이미지 광학적 깊이와 주연감광(limb darkening) 오늘 글은 광학적 깊이, 전달 방정식에 이어서 이를 활용한 태양의 주연 감광을 한번 설명해보려고 한다. 1. 주연감광이란? 주연감광(limb darkening)이란, 태양과 같은 항성을 보았을 때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밝기가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광학적 깊이, 그리고 스테판-볼츠만 법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2. 주연감광이 일어나는 이유 태양의 표층인 광구는 광학적 깊이가 대략적으로 1이 되는 지점이다. 광학적 깊이에 대한 좀 더 자세한 논의는 이전 포스팅을 보기 바란다. 광학적 깊이 : 광학적 깊이를 쉽게 이해하기 대학교 3학년 때, 처음으로 배운 전달 방정식과 광학적 깊이라는 개념이 이해가 잘 되지 않아 오랫동안 내용을 곱씹었던 기억이 난다. 광학적 깊이에 대한 .. 2022. 2. 20.
카테고리이미지 색-색도(color-color diagram)와 발머 점프(Balmer jump) 색-색도와 발머 점프에 대한 질문이 후배들에게 많았던 기억이 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색-색도에 대한 정보가 인터넷에 많이 없는 것 같아서 남기는 글이다. 일반적으로 별의 특성을 나타낼 때 색-등급도를 많이 쓴다. 중등 교육과정에서 나오는 것 또한 색-등급도이다. 오늘은 그보다 조금 더 들어가서 색-색도에대해 글을 써보고자 한다. 1. 색-색도 색-색도는 색-등급도와 다르게 양 축이 서로 다른 색지수로 되어 있는 그래프이다. X축은 (B-V), Y축은 (U-B)로 이루어져 있다. 색-색도에서는 일반적인 색-등급도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형상의 그래프가 나타난다. 특히 그래프가 흑체복사를 가정한 그래프에 대해 주계열성, 초거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도 독특한 특징이다. 그렇다면 색-색도에서 이러한 .. 2021. 9. 5.
카테고리이미지 별의 분광형과 볼츠만-사하 방정식 별의 분광형에 대해 학습할 때 아래와 같은 말을 한번쯤은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Oh Be A Fine Girl Kiss Me 고전적인 별의 분광형 암기법 이는 별의 분광형을 온도에 따라서 분류한 것이다. 별의 스펙트럼을 관찰하고 최초로 수소 발머 흡수선에 세기에 따라 A, B, C 등의 순서로 나눈 사람은 하버드 천문대의 Aunie Jump Cannon이라는 여성 천문학자이다. 그런데 어째서 온도에 따른 발머선의 세기가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위의 순서로 꼬이게 된 것일까? 이 글은 단순하게 '별의 분광형을 온도에 따라서 분류한 것이다'라는 말을 납득하지 못하는 골수파 이과생이나 임용 고시생을 위한 글이다. 오늘은 볼츠만 방정식, 사하 방정식을 통해 어째서 별의 분광형이 저렇게 결정될 수 밖에 없었는.. 2021. 8. 31.
카테고리이미지 국부 정지 좌표계(LSR)의 이해 천문학에서 은하의 회전과 항성 운동을 배우다 보면 국부 정지 좌표계라는 것이 나온다. 은하 회전, 그리고 항성 운동은 어차피 물리학에서 모두 나오는 중력과 도플러 효과로 풀어나가기 때문에 그리 어렵지 않으나, 국부 정지 좌표계라는 개념은 천구를 처음 배울 때 만큼이나 생소하기 때문에 이해하기가 조금 까다롭다. 그래서 이 개념을 어떻게 이해해 나가야 하는지 비유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 글을 보기 전에 항성의 공간운동, 은하 회전에 대한 내용을 학습하고 오기 바란다. 1. 국부 정지 좌표계(LSR)란? 국부 정지 좌표계는 순간적으로 태양의 위치를 중심에 두고 은하 중심에 대하여 원운동을 하는 좌표계를 뜻한다. 이 말을 찬찬히 살펴보자. 국부 정지 좌표계(Local Standard of Rest) 1) .. 2021. 8. 31.
728x90